밍키넷: 해외 성인 사이트와 국내 법적 이슈 밍키넷 사이트
페이지 정보
작성자 표찬미연 작성일25-11-07 05:54 조회12회 댓글0건본문
원민경 성평등가족부 장관이 지난 29일 오후 7시 서울 성동구 KT&G 상상플래닛에서 제1차 성평등 토크콘서트 ‘소다팝’을 개최하고 성별 인식격차 진단 및 해소 방안에 대해 청년 참가자들과 논의했다. [성평등가족부 제공]
[헤럴드경제=안효정 기자] “남성 청년은 나라를 위해서 개인의 자유를 희생하는데 그걸 잘 이해받지 못하는 것 같아요.” ―20대 남성 안모 씨
“우리 사회가 많이 발전했음에도 임신과 출산, 육아와 관련해선 조선시대 같아요. 아직도 엄마의 희생은 당연하다고 여겨지는 분위기가 있어요.” ―30대 여성 김모 씨
지난 29일 오후 7시 서울 성동구 KT&G 상상플래닛. 21명의 청년들이 한 자리에 모여 러시앤캐시 장학금 성평등과 관련된 자신의 경험이나 생각 등을 자유롭게 말했다. 성평등가족부는 이날 청년의 성별 인식격차 해소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제1차 성평등 토크콘서트 ‘소다팝’을 열었다.
소다팝은 ‘소통하는 청년들이 성평등의 다음 페이지를 여는 팝업(pop-up) 콘서트’라는 뜻으로 청년들이 주도적으로 성평등 미래를 만들어 나간다는 의미를 담았다. 이 저축은행 파산 번 소다팝에는 남성 청년 11명, 여성 청년 10명이 참가했다. 20대는 9명, 30대 12명이었다.
청년 20명 한 자리 모였다…‘성별 불균형’ 경험 공유
원민경 성평등가족부 장관이 지난 29일 오후 7시 서울 성 사금융 연체 동구 KT&G 상상플래닛에서 제1차 성평등 토크콘서트 ‘소다팝’을 개최하고 성별 인식격차 진단 및 해소 방안에 대해 청년 참가자들과 토론했다. [성평등가족부 제공]
첫번째 콘서트의 주제는 ‘청년세대 성별 인식격차 현황 진단’이었다. 한국리서치가 올해 만 18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젠더인 용인외고급식비 식을 살펴본 결과 20·30대에서 ‘젠더갈등이 심각하다’고 답한 비율 70% 이상으로 다른 세대보다 높았다. 또 지난 2022년 국민통합위가 발표한 청년층 젠더갈등의 현황 및 분석 연구에 따르면 청년세대는 ‘우리 사회 성평등 수준에 대한 인식 차이’(28.3%)가 젠더갈등의 핵심 문제라고 봤다.
청년 참석자들은 먼저 성별 불균형을 느꼈던 저축은행신용대출조건 개인적인 경험을 공유했다. 30대 남성 김모 씨는 “영화 시나리오를 공모할 때 작가·감독·주인공이 여성이면 가산점을 받는 경우가 있더라”라면서 “여성 가산점 제도가 과연 진정으로 성평등에 기여하는 것인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30대 여성 김모 씨는 “IT관련 전문 자격증을 취득해 입사했는데 현장 업무는 늘 배제됐다. 회사에서 ‘여자는 데스크나 지켜라’라는 말을 들었다”고 털어놓았다.
좋은 아빠가 되고 싶어 육아휴직을 썼는데 눈치가 보였다는 이야기도 나왔다. 30대 남성 A씨는 “남성이 육아휴직을 쓰면 유별나다는 인식이 있는 것 같다”면서 “육아휴직 신청할 때 제일 많이 듣는 말이 ‘너 곧 승진 시기잖아’이다. 승진에 맞춰서 애를 낳는 게 아니지 않나”라고 지적했다.
SNS·알고리즘·정치권 등…성별 인식격차 원인 진단
원민경 성평등가족부 장관은 지난 29일 오후 서울 성동구 KT&G 상상플래닛에서 제1차 성평등 토크콘서트 ‘소다팝’을 개최하고 성별 인식격차 진단 및 해소 방안에 대해 청년 참가자들과 토론했다. [성평등가족부 제공]
이후엔 참석자들 저마다 사회 전반의 성별 인식격차를 어떻게 체감하고 있는지 의견을 나눴다. 20대 여성 정모 씨는 “요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보면 남녀가 편을 갈라 싸우는 경우가 많다”면서 “게시글을 잘 읽어보면 남녀 둘다 아프고 고된 일을 겪었더라. 하지만 그 피해를 서로 공감하지 못하는 것 같다”고 했다. 20대 남성 이모 씨는 “알고리즘 기술이 너무 발달해 인터넷에 들어가면 자신의 생각과 일치하거나 본인이 보고 싶어할 만한 내용의 콘텐츠만 뜬다”면서 “그러다보니 남녀간 대화가 단절되고 각자의 입장만 중요하게 되는 문제가 나타났다”고 전했다.
성별 인식격차가 발생하는 원인으로 정치를 지목한 이들도 있었다. 20대 남성 안모 씨는 “남성·여성 혐오 표현이 정치권에서도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 듯하다”면서 “정치권이 젠더갈등을 해결해야하는데 오히려 표를 얻기 위해서 이를 부추기고 심화시키는 것 아니냐”라고 말했다.
여성 청년 B씨는 “여성 국회의원이 적은 것도 문제”라며 “중요한 정책 결정 순간에 여성 당사자의 목소리가 묻히다 보니 현실적으로 여성의 다양한 경험과 고민이 (정책에) 반영되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여성 의원이 많아지는 것은 남성을 밀어내는 게 아니라 우리 사회가 실제로 겪는 문제를 폭넓게 바라보고 모두를 위한 정책을 만들어내기 위해 꼭 필요한 변화”라면서 “국회부터 성별 균형을 이루고 성평등 문제를 다뤄야한다”고 덧붙였다.
[헤럴드경제=안효정 기자] “남성 청년은 나라를 위해서 개인의 자유를 희생하는데 그걸 잘 이해받지 못하는 것 같아요.” ―20대 남성 안모 씨
“우리 사회가 많이 발전했음에도 임신과 출산, 육아와 관련해선 조선시대 같아요. 아직도 엄마의 희생은 당연하다고 여겨지는 분위기가 있어요.” ―30대 여성 김모 씨
지난 29일 오후 7시 서울 성동구 KT&G 상상플래닛. 21명의 청년들이 한 자리에 모여 러시앤캐시 장학금 성평등과 관련된 자신의 경험이나 생각 등을 자유롭게 말했다. 성평등가족부는 이날 청년의 성별 인식격차 해소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제1차 성평등 토크콘서트 ‘소다팝’을 열었다.
소다팝은 ‘소통하는 청년들이 성평등의 다음 페이지를 여는 팝업(pop-up) 콘서트’라는 뜻으로 청년들이 주도적으로 성평등 미래를 만들어 나간다는 의미를 담았다. 이 저축은행 파산 번 소다팝에는 남성 청년 11명, 여성 청년 10명이 참가했다. 20대는 9명, 30대 12명이었다.
청년 20명 한 자리 모였다…‘성별 불균형’ 경험 공유
원민경 성평등가족부 장관이 지난 29일 오후 7시 서울 성 사금융 연체 동구 KT&G 상상플래닛에서 제1차 성평등 토크콘서트 ‘소다팝’을 개최하고 성별 인식격차 진단 및 해소 방안에 대해 청년 참가자들과 토론했다. [성평등가족부 제공]
첫번째 콘서트의 주제는 ‘청년세대 성별 인식격차 현황 진단’이었다. 한국리서치가 올해 만 18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젠더인 용인외고급식비 식을 살펴본 결과 20·30대에서 ‘젠더갈등이 심각하다’고 답한 비율 70% 이상으로 다른 세대보다 높았다. 또 지난 2022년 국민통합위가 발표한 청년층 젠더갈등의 현황 및 분석 연구에 따르면 청년세대는 ‘우리 사회 성평등 수준에 대한 인식 차이’(28.3%)가 젠더갈등의 핵심 문제라고 봤다.
청년 참석자들은 먼저 성별 불균형을 느꼈던 저축은행신용대출조건 개인적인 경험을 공유했다. 30대 남성 김모 씨는 “영화 시나리오를 공모할 때 작가·감독·주인공이 여성이면 가산점을 받는 경우가 있더라”라면서 “여성 가산점 제도가 과연 진정으로 성평등에 기여하는 것인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30대 여성 김모 씨는 “IT관련 전문 자격증을 취득해 입사했는데 현장 업무는 늘 배제됐다. 회사에서 ‘여자는 데스크나 지켜라’라는 말을 들었다”고 털어놓았다.
좋은 아빠가 되고 싶어 육아휴직을 썼는데 눈치가 보였다는 이야기도 나왔다. 30대 남성 A씨는 “남성이 육아휴직을 쓰면 유별나다는 인식이 있는 것 같다”면서 “육아휴직 신청할 때 제일 많이 듣는 말이 ‘너 곧 승진 시기잖아’이다. 승진에 맞춰서 애를 낳는 게 아니지 않나”라고 지적했다.
SNS·알고리즘·정치권 등…성별 인식격차 원인 진단
원민경 성평등가족부 장관은 지난 29일 오후 서울 성동구 KT&G 상상플래닛에서 제1차 성평등 토크콘서트 ‘소다팝’을 개최하고 성별 인식격차 진단 및 해소 방안에 대해 청년 참가자들과 토론했다. [성평등가족부 제공]
이후엔 참석자들 저마다 사회 전반의 성별 인식격차를 어떻게 체감하고 있는지 의견을 나눴다. 20대 여성 정모 씨는 “요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보면 남녀가 편을 갈라 싸우는 경우가 많다”면서 “게시글을 잘 읽어보면 남녀 둘다 아프고 고된 일을 겪었더라. 하지만 그 피해를 서로 공감하지 못하는 것 같다”고 했다. 20대 남성 이모 씨는 “알고리즘 기술이 너무 발달해 인터넷에 들어가면 자신의 생각과 일치하거나 본인이 보고 싶어할 만한 내용의 콘텐츠만 뜬다”면서 “그러다보니 남녀간 대화가 단절되고 각자의 입장만 중요하게 되는 문제가 나타났다”고 전했다.
성별 인식격차가 발생하는 원인으로 정치를 지목한 이들도 있었다. 20대 남성 안모 씨는 “남성·여성 혐오 표현이 정치권에서도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 듯하다”면서 “정치권이 젠더갈등을 해결해야하는데 오히려 표를 얻기 위해서 이를 부추기고 심화시키는 것 아니냐”라고 말했다.
여성 청년 B씨는 “여성 국회의원이 적은 것도 문제”라며 “중요한 정책 결정 순간에 여성 당사자의 목소리가 묻히다 보니 현실적으로 여성의 다양한 경험과 고민이 (정책에) 반영되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여성 의원이 많아지는 것은 남성을 밀어내는 게 아니라 우리 사회가 실제로 겪는 문제를 폭넓게 바라보고 모두를 위한 정책을 만들어내기 위해 꼭 필요한 변화”라면서 “국회부터 성별 균형을 이루고 성평등 문제를 다뤄야한다”고 덧붙였다.